건드릴 수 없는 제한된 조건은 오히려 기존의 틀을 깨뜨리는 계기로 작용하곤 한다. 공간의 섬세한 디테일들을 따라가보면 설계자의 고뇌한 흔적들로 채워져 있다. ㈜목금토건축사사무소 권재희 건축사는 공간의 미와 기능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본질에 집중하면서도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해답을 찾고 있다.

권재희 건축사(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권재희 건축사(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목금토건축사사무소의 키워드를 물었다. ‘충실한 기본’과 ‘새로운 도전’을 꼽았다. 회사명에서도 건축의 기본 재료인 나무, 쇠, 흙을 언급하고 있듯 항상 기본에 충실하며 동시에 새로운 도전을 즐거워한다고 전한다.

“항상 정답이 무엇인가를 고민한다. 흔히 디자인에는 정답이 없다고들 하지만 저는 의견이 다르다. 각 대지는 답이 있고, 건축주의 요구에는 답이 있다. 거기에 건축사로서 사회적 책임, 그리고 미래를 향한 제안을 넣는다. 기술적으로도 완성도가 있어야 하지만 건축은 인간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사유를 넣고자 한다. 그런 모든 것들이 한 가지로 치우치지 않게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맥락에서 권 건축사는 “좋은 건축은 좋은 프로그램에서 나온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건축주들은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에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선뜻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다른 누군가 성공한 것을 따라 해달라고 한다. 사회는 변하고, 시대마다 사람마다 요구하는 프로그램이 달라지는데 남을 쫓아가는 것은 생명력이 없다. 건축주의 요구에 맞춰 공간을 기획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을 내는 것에 큰 매력이 있다. 그래서 ㈜목금토건축사무소에서 설계한 건축에는 각각의 유니크한 스토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햇빛을 가득 담고 있는 집 '늘해랑'

늘해랑은 차로로 둘러싸인 대지에 소음, 프라이버시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실들을 대지의 외곽에 감싸듯 배치하고, 중정을 중심으로 가족만의 이야기를 채울 수 있도록 계획했다. 도심 주택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 중정과 작은 마당 3개를 배치했다. 특히 중심 마당은 빛과 자연, 조망 등의 기능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치유의 정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녹지공간을 적절하게 작게 나눠 휴식이 필요한 공간(욕실, 서재, 화장실)에서 그린 테라피가 가능하도록 배치했다.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특히 늘해랑은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해서 우리 세대의 책임감 있는 선택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건축주도 뜻을 같이하여 패시브하우스로 지었고, 한국패시브건축협회 패시브주택 인증을 획득했다.

㈜목금토건축사사무소는 2012년도부터 패시브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하고 공간으로 실현해 오고 있다. 패시브주택은 태양의 열과 빛을 최대한 실내로 끌어들여 따뜻해진 실내 온도의 손실이 없이 오래 유지하기 위해 기밀하게 지어진다. 여름에는 반대로 외부의 더운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서늘한 공기를 보다 오래도록 가지고 있어야한다. 단열에 충실하다보니 디자인이 단순해지기 쉬운데, 늘해랑은 기술면에서 패시브주택의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디자인적으로 개성과 완성도를 추구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주)목금토건축사사무소)

권 건축사는 올해 짬짬이 시간을 내어 그동안 건물로 실현되지 못했던 프로젝트의 평면들을 다시 옮겨보았다고 한다. “모두 76개더라. 작업물들 하나하나 밤새워가며 정성을 쏟았던 기억이 떠오르면서 참 좋았다. 지어졌건 아니건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이런 경험들을 후배들과 건축에 관심있는 일반인들과 나누고 싶다. 특히 시행착오를 통해 건축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며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이를 직원들은 물론 후배들과 나누고자 세미나를 종종 열곤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오히려 성장하는 것은 제 자신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에 어떤 건축사로서 자리매김하길 원하냐는 질문을 던졌다. “건축을 하면서 좋은 건축주도 만나고, 좋은 엔지니어들과 불가능해 보였던 일을 해결해보기도 했으니 참 행복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건축 때문에 행복했으니 이제 건축을 위해 뭔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좋은 건축인들이 건축계에서 오래도록 남아서 행복의 건축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다. 후배들이 만드는 훌륭한 건물들을 보면서 더욱 행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